맨위로가기

뉴턴-코츠 공식

"오늘의AI위키"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
1. 개요

뉴턴-코츠 공식은 수치 적분 방법의 일종으로, 적분 구간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함수 값을 계산하고, 이를 가중 평균하여 적분 값을 구하는 방법이다. 이 공식은 닫힌 뉴턴-코츠 공식과 열린 뉴턴-코츠 공식으로 나뉘며, 사다리꼴 공식, 심슨 공식, 불의 공식 등이 닫힌 공식에, 구형 공식(중점 공식), 밀른 공식 등이 열린 공식에 해당한다. 뉴턴-코츠 공식은 라그랑주 보간 다항식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며, 가중치는 함수에 의존하지 않고 점의 위치에만 의존한다. 그러나 고차 공식에서는 룬게 현상으로 인해 오차가 커질 수 있으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 공식을 사용한다.
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
  • 수치적분 - 사다리꼴 공식
    사다리꼴 공식은 적분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에서 함수를 일차 함수로 근사하고 사다리꼴 면적을 합산하여 정적분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이다.
  • 수치적분 - 가우스 구적법
    가우스 구적법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다항식의 영점을 노드로 사용하여 적분을 근사하는 수치 적분 방법으로, 피적분 함수에 특정 가중치를 적용, 미리 정해진 노드에서의 함수값을 사용하여 적분값을 근사하며, 다항식으로 잘 근사되는 함수에 대해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.
뉴턴-코츠 공식
개요
종류수치 적분 공식
이름뉴턴-코츠 공식
특징등간격 점 사용
관련 항목수치 적분
설명
정의뉴턴-코츠 공식은 함수값을 알고 있는 일련의 등간격 점에서 함수의 적분을 근사하는 데 사용되는 수치 적분 공식의 모음이다.
공식적분 구간 [a, b]를 n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나눈다 (h = (b-a)/n).
각 분할점 xi = a + ih (i = 0, 1, ..., n)에서 함수 f(x)의 값을 계산한다.
이 값들을 가중치 wi와 곱하여 합산한다.
적분 근사값 ≈ h * Σ(wi * f(xi)) (i = 0부터 n까지)
코테스 수코테스 수는 구간 [0, n]에서 차수가 n인 라그랑주 보간법의 기초 함수를 적분하여 얻는 가중치이다.
종류별 공식
n = 0중점 법칙 (Midpoint Rule)
n = 1사다리꼴 법칙 (Trapezoidal Rule)
n = 2심프슨 법칙 (Simpson's Rule)
n = 3심프슨 3/8 법칙 (Simpson's 3/8 Rule)
n = 4부울 법칙 (Boole's Rule)
특징 및 고려 사항
장점구현이 간단하고, 함수 평가 비용이 저렴하다.
단점차수가 높아질수록 오차가 커질 수 있다 (룽게 현상).
폐구간 공식의 경우, 구간 끝점에서 함수값을 알아야 한다.
대안가우스 구적법 (Gauss Quadrature): 더 적은 점으로 더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.
클렌쇼-커티스 구적법 (Clenshaw–Curtis quadrature): 안정적인 수렴을 제공한다.
활용
응용 분야과학 및 공학 계산
수치 해석
컴퓨터 그래픽스

2. 공식

뉴턴-코츠 공식은 함수 f(x)의 적분값을 근사하는 방법으로,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.[1]

:\int_a^b f(x)\, dx \approx \sum_{i = 0}^n w_i\, f(x_i)

여기서 x_i는 등간격 점을 나타내고, w_i는 각 점에 대한 가중치, f(x_i)는 해당 점에서의 함숫값을 의미한다.

뉴턴-코츠 공식은 구간의 양 끝점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"닫힌 공식"과 "열린 공식"으로 나뉜다.


  • 닫힌 공식: 구간의 양 끝점(x_0 = a, x_n = b)을 포함한다.
  • 열린 공식: 구간의 양 끝점을 포함하지 않는다.(x_0 > a, x_n < b)


닫힌 공식의 경우 x_i = a + ih (h = \frac{b - a}{n})이고, 열린 공식의 경우 x_i = a + (i + 1)h (h = \frac{b - a}{n + 2})이다. 여기서 h는 "스텝 사이즈"라고 불린다.

가중치 w_i는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의 적분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, x_i에만 의존하고 함수 f(x)에는 의존하지 않는다. 이는 다음 식과 같이 표현된다.

:\int_a^b f(x)\, dx \approx \int_a^b L(x)\, dx = \int_a^b \left(\sum_{i = 0}^n f(x_i) l_i(x)\right)\, dx = \sum_{i = 0}^n f(x_i) \underbrace{\int_a^b l_i(x)\, dx}_{w_i}

2. 1. 닫힌 뉴턴-코츠 공식

0 \le i \le n에 대해, x_i = a + ih (h = \frac{b - a}{n}), f_i = f(x_i)일 때, 폐 뉴턴-코츠 공식은 다음과 같다.

폐 뉴턴-코츠 공식
단계 크기일반적인 이름공식오차 항
1b - a사다리꼴 공식\frac{1}{2} h(f_0 + f_1)-\frac{1}{12}h^3f^{(2)}(\xi)
2\frac{b - a}{2}심슨 공식\frac{1}{3} h(f_0 + 4f_1 + f_2)-\frac{1}{90} h^5f^{(4)}(\xi)
3\frac{b - a}{3}심슨 3/8 공식\frac{3}{8} h(f_0 + 3f_1 + 3f_2 + f_3)-\frac{3}{80} h^5f^{(4)}(\xi)
4\frac{b - a}{4}불의 공식\frac{2}{45} h(7f_0 + 32f_1 + 12f_2 + 32f_3 + 7f_4)-\frac{8}{945} h^7f^{(6)}(\xi)



불의 공식은 초기 참고서인 애브러모위츠와 스티건의 오타로 인해 때때로 보드의 공식이라고 잘못 불리기도 한다.[5]

오차 항에서 단계 크기 ''h''의 지수는 근사 오차가 감소하는 속도를 나타낸다. 오차 항에서 ''f''의 도함수 차수는 이 규칙으로 더 이상 정확하게 적분할 수 없는 (즉, 오차가 0과 같은) 다항식의 최소 차수를 나타낸다. 숫자 \xi는 구간 에서 가져와야 하므로, 오차 상한은 f(\xi) = \max(f(x)), a일 때 오차 항과 같다.

n차 닫힌 뉴턴-코츠 공식은 다음과 같다.

:\int_a^b f(x) \,dx \approx \sum_{i=0}^n w_i\, f(x_i)

여기서 {\displaystyle x_i = a + i\, {\frac{b-a}{n}}}\ (i = 0, ..., n)이다.

w_i는 가중치라고 불린다. 가중치는 라그랑주 보간법에 의한 보간 다항식에서 유도된다.

:\int_a^b f(x) \,dx \approx \int_a^b L(x) \,dx = \int_a^b \left( \sum_{i=0}^n f(x_i)\, l_i(x) \right) \,dx = \sum_{i=0}^n f(x_i) \underbrace{\int_a^b l_i(x) \,dx}_{w_i}

이상의 유도 과정에서 가중치는 함수 f에 의존하지 않고, x_i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2. 2. 열린 뉴턴-코츠 공식

열린 공식은 적분 구간의 양 끝점을 포함하지 않는다. 즉, x_0 > a이고 x_n < b이다. x_i = a + (i + 1)h (h = \frac{b - a}{n + 2})이다.[1]

다음은 열린 뉴턴-코츠 공식의 일부이다. 여기서 0 \le i \le n에 대해, x_i = a + (i + 1)h이고 h = \frac{b - a}{n + 2}, f_i = f(x_i)이다.

'''열린 뉴턴-코츠 공식'''
n단계 크기 h일반적인 이름공식오차 항
0\frac{b - a}{2}구형 공식, 또는
중점 공식
2hf_0\frac{1}{3} h^3f^{(2)}(\xi)
1\frac{b - a}{3}\frac{3}{2} h(f_0 + f_1)\frac{3}{4}h^3f^{(2)}(\xi)
2\frac{b - a}{4}밀른 공식\frac{4}{3} h(2f_0 - f_1 + 2f_2)\frac{14}{45} h^5f^{(4)}(\xi)
3\frac{b - a}{5}\frac{5}{24} h(11f_0 + f_1 + f_2 + 11f_3)\frac{95}{144} h^5f^{(4)}(\xi)


2. 3. 가중치 계산

가중치 w_i는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.[1] 이 가중치는 함수 f(x)에 의존하지 않고, x_i에만 의존한다. 주어진 데이터 점 (x_0, f(x_0)), (x_1, f(x_1)), \ldots, (x_n, f(x_n))에 대한 라그랑주 형태의 보간 다항식을 L(x)라고 하면,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
\int_a^b f(x)\, dx \approx \int_a^b L(x)\, dx = \int_a^b \left(\sum_{i = 0}^n f(x_i) l_i(x)\right)\, dx

= \sum_{i = 0}^n f(x_i) \underbrace{\int_a^b l_i(x)\, dx}_{w_i}.

뉴턴-코츠 공식의 가중치는 선형 방정식계의 해로도 구할 수 있다. 이는 보간 다항식의 유일성에서 f(x)n차 이하의 다항식인 경우 L(x) = f(x)가 되는 것에 기초한다. 계수 행렬은 반데르몽드 행렬이다.



\begin{pmatrix}

1 & 1 & \cdots & 1 \\

x_0 & x_1 & \cdots & x_n \\

\vdots & \vdots & \ddots & \vdots \\

x_0^n & x_1^n & \cdots & x_n^n

\end{pmatrix}

\begin{pmatrix}

w_0 \\

w_1 \\

\vdots \\

w_n

\end{pmatrix}

=

\begin{pmatrix}

b - a \\

(b^2 - a^2)/2 \\

\vdots \\

(b^{n+1} - a^{n+1})/(n+1)

\end{pmatrix}


3. 공식 목록

다음은 몇 가지 뉴턴-코츠 공식의 예시이다.

f_if(x_i)의 약기이다. 오차항 E\int_a^b f(x) \,dx - \sum_{i=0}^n w_i f(x_i) = E가 되는 \xi \in (a, b)가 존재함을 의미한다. 또한, f의 도함수의 차수는 그 미만의 차수의 다항식이 정확하게 적분될 수 있음(즉, 오차가 0이 됨)을 나타낸다. (b - a)의 차수와 f의 도함수의 계수는 하나씩 건너뛰어 2씩 증가한다.

닫힌 뉴턴-코츠 공식
차수이름오차항
1사다리꼴 공식\frac{b-a}{2} (f_0 + f_1)-\frac{(b-a)^3}{12}\,f^{(2)}(\xi)
2심슨 공식\frac{b-a}{6} (f_0 + 4 f_1 + f_2)-\frac{(b-a)^5}{2880}\,f^{(4)}(\xi)
3심슨의 3/8 공식\frac{b-a}{8} (f_0 + 3 f_1 + 3 f_2 + f_3)-\frac{(b-a)^5}{6480}\,f^{(4)}(\xi)
4불의 공식\frac{b-a}{90} (7 f_0 + 32 f_1 + 12 f_2 + 32 f_3 + 7 f_4)-\frac{(b-a)^7}{1935360}\,f^{(6)}(\xi)



열린 뉴턴-코츠 공식
차수이름오차항
0중점 규칙(b-a) f_0\frac{(b-a)^3}{24}\,f^{(2)}(\xi)
1사다리꼴 방법\frac{b-a}{2} (f_0 + f_1)\frac{(b-a)^3}{36}\,f^{(2)}(\xi)
2밀른 공식\frac{b-a}{3} (2 f_0 - f_1 + 2 f_2)\frac{7(b-a)^5}{23040}\,f^{(4)}(\xi)
3\frac{b-a}{24} (11 f_0 + f_1 + f_2 + 11 f_3)\frac{19(b-a)^5}{90000}\,f^{(4)}(\xi)


3. 1. 닫힌 공식

다음은 닫힌 뉴턴-코츠 공식(폐 뉴턴-코츠 공식) 중 일부이다. 0 \le i \le n에 대해, x_i = a + ih (h = \frac{b - a}{n}), f_i = f(x_i)이다.

'''닫힌 뉴턴-코츠 공식'''
n단계 크기일반적인 이름공식오차 항
1b - a사다리꼴 공식\frac{1}{2} h(f_0 + f_1)-\frac{1}{12}h^3f^{(2)}(\xi)
2\frac{b - a}{2}심슨 공식\frac{1}{3} h(f_0 + 4f_1 + f_2)-\frac{1}{90} h^5f^{(4)}(\xi)
3\frac{b - a}{3}심슨 3/8 공식\frac{3}{8} h(f_0 + 3f_1 + 3f_2 + f_3)-\frac{3}{80} h^5f^{(4)}(\xi)
4\frac{b - a}{4}불의 공식\frac{2}{45} h(7f_0 + 32f_1 + 12f_2 + 32f_3 + 7f_4)-\frac{8}{945} h^7f^{(6)}(\xi)



불의 공식은 초기 참고서인 애브러모위츠와 스티건의 오타로 인해 때때로 보드의 공식이라고 잘못 불리기도 한다.[5]

오차 항에서 단계 크기 ''h''의 지수는 근사 오차가 감소하는 속도를 나타낸다. 오차 항에서 ''f''의 도함수 차수는 이 규칙으로 더 이상 정확하게 적분할 수 없는 (즉, 오차가 0과 같은) 다항식의 최소 차수를 나타낸다. 숫자 \xi는 구간 (a, b)에서 가져와야 하므로, 오차 상한은 f(\xi) = \max(f(x)), a일 때 오차 항과 같다.

'''닫힌 뉴턴-코츠 공식'''
차수이름오차항
1사다리꼴 공식\frac{b-a}{2} (f_0 + f_1)-\frac{(b-a)^3}{12}\,f^{(2)}(\xi)
2심슨 공식\frac{b-a}{6} (f_0 + 4 f_1 + f_2)-\frac{(b-a)^5}{2880}\,f^{(4)}(\xi)
3심슨의 3/8 공식\frac{b-a}{8} (f_0 + 3 f_1 + 3 f_2 + f_3)-\frac{(b-a)^5}{6480}\,f^{(4)}(\xi)
4불의 공식\frac{b-a}{90} (7 f_0 + 32 f_1 + 12 f_2 + 32 f_3 + 7 f_4)-\frac{(b-a)^7}{1935360}\,f^{(6)}(\xi)


3. 2. 열린 공식

중점 공식2hf_0\frac{1}{3} h^3f^{(2)}(\xi)1\frac{b - a}{3}\frac{3}{2} h(f_0 + f_1)\frac{3}{4}h^3f^{(2)}(\xi) 2\frac{b - a}{4}밀른 공식\frac{4}{3} h(2f_0 - f_1 + 2f_2)\frac{14}{45} h^5f^{(4)}(\xi)3\frac{b - a}{5}\frac{5}{24} h(11f_0 + f_1 + f_2 + 11f_3)\frac{95}{144} h^5f^{(4)}(\xi)



여기서 f_if(x_i)의 약기이다.

오차항 E\int_a^b f(x) \,dx - \sum_{i=0}^n w_i f(x_i) = E가 되는 \xi \in (a, b)가 존재함을 의미한다. 또한, f의 도함수의 차수는 그 미만의 차수의 다항식이 정확하게 적분될 수 있음 (즉, 오차가 0이 됨)을 나타낸다. (b - a)의 차수와 f의 도함수의 계수는 하나씩 건너뛰어 2씩 증가한다는 점에 유의한다.

4. 고차 공식의 불안정성

높은 차수의 뉴턴-코츠 공식은 때때로 심각한 룬게 현상[2]으로 인해 오차가 큰 차수에서 지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. 가우스 구적법이나 적분 구간의 양 끝점에 점이 밀집된 클렌쇼-커티스 구적법과 같은 방법은 안정적이고 훨씬 더 정확하여 일반적으로 뉴턴-코츠 공식보다 선호된다.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, 피적분 함수가 고정된 등간격 격자에서만 주어지기 때문에 복합 공식을 사용하여 룬게 현상을 피할 수 있다.

''f''(''x'') 1/(1 + 25''x'')}}(적색)와 등분점에 기초한 5차(청색)와 9차(녹색)의 보간 다항식. 고차 다항식 쪽이 단점 부근에서의 오차는 커지고 있다.


또는, 보간 대신 최소 제곱 근사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뉴턴-코츠 공식을 구성할 수 있다. 이를 통해 고차에서도 수치적으로 안정적인 공식을 만들 수 있다.[3][4]

5. 합성 공식

정확도를 높이려면, 단계 크기가 작아야 한다. 이는 적분 구간 [a, b] 자체가 작아야 함을 의미하지만, 대부분의 경우 그렇지 않다. 이러한 이유로, 수치 적분을 수행할 때는 일반적으로 [a, b]를 더 작은 부분 구간으로 나누어 각 부분 구간에 뉴턴-코츠 공식을 적용하고, 그 결과를 합산한다. 이를 '합성 공식'이라고 한다. 수치 적분을 참고하라.

큰 차수에서는 룬게 현상에 의해 오차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커진다. 그 때문에, 일반적으로는 큰 차수에서는 가우스 구적법이나 Clenshaw-Curtis quadrature|클렌쇼-커티스 구적법영어 등의 비등분점법이 안정적으로 보다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있다. 만약 그 방법들을 사용할 수 없다면, '''합성 적분 공식'''을 사용하여 룬게 현상을 피할 수 있다.

뉴턴-코츠 공식의 정밀도를 높이려면, 단계 크기를 작게 해야 한다. 즉, 적분 구간 자체가 작아야 한다. 이 때문에, 적분 구간을 작은 부분 구간으로 분할하고, 각 부분 구간마다 뉴턴-코츠 공식을 사용하며, 그 결과를 합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. 이것을 '''합성 적분 공식'''이라고 부른다.

참조

[1] 서적 Numerical Mathematics Springer 2006
[2] 서적 Numerical Mathematics Springer 2006
[3] 웹사이트 Stable Newton-Cotes Formulas http://www.holoborod[...] 2011-03-24
[4] 웹사이트 Stable Newton-Cotes Formulas (Open Type) http://www.holoborod[...] 2012-05-20
[5] 웹사이트 Booles Rule at Wolfram Mathworld, with typo in year "1960" (instead of "1860") http://mathworld.wol[...]


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